범민문화재단

본문 바로가기
image

범민문화재단

돌이켜보니 재단이 그간 걸어온 길은 마치 열매가 여물어가는
과정과도 같았습니다.
우리는 열매 속에서 희망을 보았고, 미래를 꿈꿉니다.

image

함께 지켜봐 주시겠습니까?

지역사회의 임팩트 메이커로 역할을 해 나갈 것입니다.
변화와 발전을 이끄는 안내자로서 열할을 하겠습니다.

image

범민문화재단의 미래

어느 하나도 쉬운 일은 없었지만, 지역사회는 어느덧 열매를 맺어 여물어 가고 있습니다.
희망을 보았고 함께 동반자로, 희망 지렛대로 역할을 해나갈 것입니다.

  • pause
  • play
배병우 작가 연구서-'Bae Bien-U·STUDIES' 사인회...6일 여수서 개최

연과 인간, 시간과 공간의 본질을 탐구해 온 배병우 작가의 연구서 - 'Bae Bien-U·STUDIES' 사인회가 6일 전남 여수에서 열린다.범민문화재단은 세계적인 다섯 석학들이 나눈 대화, 배병우 연구서인 Bae Bien-U·STUDIES 출판기념 사인회를 6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재단사무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Bae Bien-U·STUDIES는 한국의 자연과 문화적 공간을 배경으로 작업해 온 사진작가 배병우의 예술 세계를 다층적으로 조명한 연구서이다.소나무 숲, 종묘, 창덕궁 등 한국적인 공간을 통해 자연과 인간, 시간과 공간의 본질을 탐구하며, 단순한 풍경 사진을 넘어 삶과 죽음, 순환이라는 철학적 주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온 배병우 작가의 예술 철학을 깊이 있게 다룬다.이번 연구서에는 세계 각국의 석학들이 참여해 배병우의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했다.도쿄국립근대미술관의 전 학예실장이자 미술평론가인 치바 시게오(Chiba Shigeo), '기체 상태의 예술'의 저자이자 파리 제1대학 철학과 교수였던 이브 미쇼(Yves Michaud), 한국의 대표적 미술학자 유홍준, 독일 쿤스트아카데미 뒤셀도르프 교수 로버트 플렉(Robert Fleck), 독일 미술평론가 토마스 바그너(Thomas Wagner) 등이 저자로 참여해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 등 다국적 시각에서 배병우의 작품세계를 입체적으로 조명한다.여수 사인회는 배병우 작가가 직접 진행하며, 독자들과의 기념촬영도 있을 예정이다.사인회 관련 문의는 여수시 여문로에 위치한 범민문화재단 사무처(061-666-3139, 010-7700-2662)이다.■ 배병우 작가전남 여수 출신인 배병우(1950년) 작가는 소나무와 제주 오름 등을 통해 한국의 정체성과 미학을 현대적 감각의 작업으로 선보이며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서울예술대학교 사진과 교수 및 독일 빌레펠트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1982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배 작가는 소나무 숲, 왕실 정원, 알함브라 궁전 등 다양한 공간을 통해 자연과 인간, 시간과 공간의 본질을 탐구해 왔다. 2006년 아시아 사진작가로는 최초로 스페인 티션보르네미사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스페인 정부의 의뢰로 알함브라 궁전을 촬영한 작업은 서울 덕수궁 미술관과 알함브라에서 순회 전시되었다.주요 개인전으로는 광주시립미술관(2015), 프랑스 생테티엔 현대미술관(2015), 샹보르 성 국립재단(2015-2016), 이탈리아 빌모트 재단(2022) 등이 있다. 배 작가의 작업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구겐하임 미술관 등 세계 유수의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2016년 이중섭미술상을 수상하였으며, 2023년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슈발리에장을 받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2025.02.06
여수학연구소

여수학연구소

여수의 역사문화, 민속에 대한 조사, 발굴과 역사문화 등 지역의 사료 자료정리와 도서 발간 사업, 역사문화를 위한 인재육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광마케팅 연구소

관광마케팅 연구소

섬 역사문화에 대한 조사, 발굴과 역사문화 자료정리와 도서 발간 사업, 역사문화관광 인재육성 및 섬관광 등 공익사업 실시하고 있습니다.

상담신청
범민문화재단